학습 QNA
- 고객센터
- 학습 QNA
전선의 극수 - ,MCCB 극수 선정 시
글쓴이 : 준하
등록일 : 2018.04.24
기사실기 477P 문제 4번 -- 1번 전류 구해서 차단기 선정 시 강사님은 4극을 선정 ㅎ했는데 조건에서 CV 케이블은 3선 이므로 3극을 선정 하라는 다른 의견도 있는데 ..
어떤걸로 해야되나요?
김대일
_ 2018.04.26 22:34수강생님 반갑습니다
TS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담당강사입니다.
주어진 문제는 기출문제로서 TS출제 문제중 많이 거론된 문제중 하나이며 질문이 가장 많은 문제입니다.
중요한 사실은 전기기사실기는 문제에 대한 답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석하는 범위의 기준 , 문제를 바라보는 기준의 심층도, 시대의 흐름, 개념 이론에 따라 그 답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즉 정확한 답은 없지만 이게 답에 가깝다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 이유는 답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이문제는 어떻게 해석을 하여야 하느냐? 입니다.
출제된 년도는 옛날의 흐름 즉 구식으로 출제된 문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때의 기준으로 본다면 3극이 답이 맞습니
다. 그러나 현재기준으로 해석을 하셔야 합니다. 케이블은 3선이 아닙니다. 문제의 기준은 3상 4선입니다. 상이 3개이
고 wire (와이어)선은 4가닥 입니다. 줄인말로서 3상4선식입니다.
이렇게 주어져도 답은 3극이었습니다.
그 근거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 차단기는 각극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3상에 설치됩니다.
원칙은 중성선 및 접지측 전선에는 차단기가 설치되면 안됩니다.
그 이유는 더 큰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다선식 전로에서 중성선 N 에도 과전류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다시 해석하면 3상에만
설치되어야 하는데 중성선도 포함시켜서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지요~~ㅠㅠ 자격증
을 취득하시고 배전반을 열어보시면 아주 쉽게 이해가 되실겁니다.
참 웃긴경우지요~
왜냐면 중성선에 설치하면 안된다라고 법적으로 명기를 해 놓았는데 현장은 아니네요 ~~ㅠㅠ
하지만 사는게 힘든만큼 요령도 피우면서 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법 또한 그래서 넘 빡빡하니깐 특례조항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즉 예외라는 것이죠~~
차단기가 동작시 각 상 R,S,T 가 동시에 동작하여 차단될때에는 중성선에 차단기가 설치되어도 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고장사고시 각상이 먼저 개폐되며 그 이후에 중성선이 떨어집니다. 중성선이 먼저 개방이 되면 끊어진 회로의 상전압 220V에 루트3배 과전압이 투입이되어 380V가 됩니다. 또한 현장에서 누전 및 사고 발생으로 절연저항 측정시 중성선을 개방하지 않으면 그 값을 정확하게 측정할수가 없습니다. 중성선이 차단기를 통하지 않고 그대로 직가 되어버린 3극의 경우에는 사고 발생이 그 원인을 파악하기가 힘들어 집니다. 따라서 현재 실무기준에서는 주 개폐기 및 분기 개폐기는 4극을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전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전기안전공사의 검사규정 또한 지금은 판단기준을 근거로 법을 개정하여 실무현장에서는 무조건 4극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결론입니다.
옛날 기준 3극입니다. 오래된 현장 및 건물의 배전반에는 아직도 3극이 존재하는 곳이 많습니다. 절연저항 측정시 아주 많은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기준 4극 입니다.
주개폐기 ACB 및 분기개폐기 MCCB 모두 4극이 현대기준으로는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실기는 답이 없지만 현재기준으로 판단하심이 가장 적절합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 글
-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