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설비란 수전점에서 변압기 1차측까지 기기구성, 변전설비란 변압기에서 전력부하설비의 배전반까지를 변전설비라 한다. 즉, 전력회사의 전력공급에 대해 구내에 전력을 수전하고, 변전하는 설비를 시설하여 구내에만 배전하고 구외로 전송하지 않는 설비를 말한다. 2차 실기시험에서 15점~25점 정도가 출제되고 있으며, 1차 필기 과목 중 전력공학의 변전 및 배전공학 내용이 전문화된 과목이다.
제 2과목 : 전기설비설계
전기설비란 일반적으로 설계와 건설로 이루어지는 전기 사용 시설(electric facilities)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는 다시 조명설비, 전열설비, 전동력설비, 송·배전설비 및 발전설비와 같이 그 사용설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설계는 기획, 계산, 계획, 도면과 사양서 및 절차서 작성, 구매업무, 시공관리업무 및 검사와 운전관리 업무까지 포함된다. 2차 실기시험에서 45점~55점 정도가 출제되고 있으며, 1차 필기 과목의 대부분이 전기설비설계 과목에 포괄적으로 적용되어 출제되고 있다.
제 3과목 : 시퀀스 및 PLC
시퀀스 제어회로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점차적으로 진행해 나가는 회로이다. 일종의 스위치나 버튼을 이용하여 전기회로의 부하를 운전하기도 하고, 부하의 운전상태나 고장상태를 알리기도 한다. 최근 사용되는 전기회로는 모두 시퀀스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용예로는 엘리베이터, 세탁기, 냉장고, 자동판매기 등이 있다. 무접점 소자를 이용한 회로로서 PLC 등 전자회로를 사용하며, 유접점 소자는 버튼스위치나 각종 계전기(Relay)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란 논리연산, 순서조작, 타이머, 카운터, 산술연산 등의 제어 동작을 행하고 디지털/아날로그 입출력을 통해 행하는 디지털 조작형 공업용 전원장치이다. 2차 실기시험에서 매회 8점~14점 정도 출제가 되고 있다.
제 4과목 : 조명설비
조명이란 빛을 이용하여 사람이 사물을 판단할 수 있도록 광원을 이용하여 피조면에 빛을 비추는 것을 말하며, 조명 설비란 조명 기구, 점멸․조광 시스템, 전원 시스템 및 배선으로 구성되는 빛의 이용 설비를 말한다. 공사기사 필기시험의 과목인 전기응용에서 다루었던 내용이지만, 전기(산업)기사 실기시험에서도 출제가 된다. 조명설비는 2차 실기시험에서는 5점~10점 정도 출제되고 있다.
제 5과목 : Table-Spec
테이블스펙(Table-Spec)은 전력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의 법안 규정 중 전선의 단면적 계산, 간선과 분기회로의 시설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표(Table)를 주고 그 표(Table)를 이용하여 요구하는 질문에 답하는 과목이다. 출제빈도는 낮지만 한번 출제가 되면 배점이 높은 관계로 꼭 집고 넘어가야 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표를 통해 문제를 도출하는 연습과 문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 및 공식을 잘 정리해 놓으면 고득점이 가능하다.